신주소를 구주소로 바꾸는 방법 안내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주소를 구주소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최근들어 신주소인 도로명주소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도로명주소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드리자면 도로명이나 건물번호 상세주소 등 새롭게 부여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건물들의 주소를 표기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요.
개인적으로 신주소를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기에는 아직 발전해야 할 요소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외국에서 주로 쓰이는 도로명주소제도인데 각 나라의
문화나 특징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구주소에서 신주소로 많이 전환해서 쓰이고 있지만
아직도 구주소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어르신 분들은 구주소가 조금 더 편안하게 다가오실 수 있는데요.
아직까지 구주소로 사용되는 사이트들도 있으니
구주소를 알고 계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현재주소를 구주소로 바꾸기 위해서는 주소 관련 홈페이지를
들어가시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도로명주소 안내 시스템를 입력해주세요.
도로명주소 및 주소변환, 10개이하변환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홈페이지에 접속 시 가장 처음에 보실 수 있는 화면입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이라고 표기되어있고
밑에 검색창에는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라는 예시가 보이네요.
이곳에 적혀있는 예시 주소를 지우고 본인이 찾고 싶은
신주소를 직접 입력하시면 됩니다.(신주소 뿐만 아니라 구주소도 가능합니다)
저는 또다른 보기로 반포대로 58을 입력해보았습니다.
검색 결과 좌측에는 도로명주소(신주소)가
우측에는 지번주소(구주소)가 함께 나오게 됩니다.
예를 들어 도로명주소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58이라면
구주소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583-10 으로
표현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정보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검색을 하시고 나면 오른쪽칸에 +더보기 칸이 보이실 겁니다.
그걸 클릭하시면 본인이 찾은 주소에 대한
영문주소와 관할주민센터 및 상세건물명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도로명주소를 사용함에 있어서 건물마다 특정 형태가
다르다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올려드렸습니다.
처음에는 많이 혼란스럽기도 하고 어렵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
차츰 적응하시다보면 쉽게 구분이 가능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으로 신주소를 구주소로 바꾸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